////
Search
Duplicate

인터넷 계층, 링크 계층 - 주현

인터넷 계층

장치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IP 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
대표적인 프로토콜
IP (Internet Protocol)
ARP
IP주소 →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
RARP
MAC주소 →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
MAC 주소란?
ICMP
IGMP
패킷을 수신해야 할 상대의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달
상대방이 제대로 받았는지 보장하지 않는 비 연결형적인 특성

링크 계층

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고도 불림
전선 광섬유, 무선 등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장치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 ‘규칙’을 정하는 계층
물리 계층 - 무선 LAN과 유선 LAN을 통해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보내는 계층
데이터 링크 계층 - 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에러 확인, 흐름 제어, 접근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
데이터링크 계층의 주소 == MAC 주소
유선 LAN (IEEE802.3)
유선 랜을 이루는 이더넷은 IEEE802.3 프로토콜을 따르고 전 이중화 통신 사용
전이중화 통신(full duplex)
반이중화 통신(half duplex)
유선 LAN
무선 LAN
이더넷 프레임
데이터 링크 계층은 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하고 캡슐화 함
프리앰블(Preamble) : 프레임 시작을 알리는 동기화 비트 패턴으로, 수신 측에서 프레임의 시작을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.
목적지 MAC 주소(Destination MAC Address) : 수신할 장치의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나타냅니다. 목적지 주소를 통해 프레임이 올바른 수신자에게 전달되도록 합니다.
소스 MAC 주소(Source MAC Address) :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의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나타냅니다. 수신 측에서는 이를 통해 데이터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더타입(EtherType) : 프레임 내의 페이로드 데이터 형식을 식별하는 필드로, 상위 계층 프로토콜(예: IPv4, IPv6)의 종류를 알려줍니다.
페이로드(Payload) : 전송할 실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부분으로, 일반적으로 최대 1500바이트의 크기를 가집니다.
프레임 체크 시퀀스(Frame Check Sequence) : 프레임의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오류 검출 코드로, 수신 측에서 프레임의 오류를 검출하는데 사용됩니다.